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We’re Panasia

NEWS

제목
[4차산업 동남권 현장백서] 3. 스마트팩토리 팔 걷은 제조업
등록일
2018-09-19
조회수
2875
파일

부산일보


[4차산업 동남권 현장백서] 3. 스마트팩토리 팔 걷은 제조업

기업들 지능형 공장 구축 사활 걸지만 겉도는 정부 지원

조선기자재 업체 중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되는 파나시아의 UV(자외선) 램프 자동 생산 라인. 
한 직원이 제품 데이터와 품질 등이 자동으로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강원태 기자 wkang@

 

동남권에 '스마트 팩토리'라는 4차 산업혁명 바람이 거세다. 

동남권 제조업은 그 비중이 40% 안팎에 달하는 경제 근간이지만 조선업과 자동차산업 퇴조로 성장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스마트 팩토리가 동남권 제조업 고도화와 양질의 일자리 공급이 가능한 해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 흐름을 얼마나 잘 타느냐에 지역 제조업 혁신과 성장이 달렸지만, 과제도 적지 않다.

생산성 향상·일자리 창출 등
굴뚝산업 성장 '필수 과제'
도입 의지 높지만 역량 부족
구축 기업도 80%가 초보 수준

기본 시스템에 수억 드는데
정부 지원은 5000만 원 불과
지자체도 전담기구 도입을

■스마트 팩토리 기회 마주한 굴뚝 산업

'부산시 최초, 조선기자재 최초'. 부산 조선기자재업체 파나시아 내 'UV(자외선) 램프' 생산 라인에 붙은 슬로건이다. 그저 구호만은 아니다. 

이 기업은 내년 5월까지 자재 관리부터 생산·품질 관리, 재고 관리까지 전 생산 라인을 ICT(정보통신) 기술로 연결하는 스마트 생산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파나시아는 국내 조선기자재 기업 중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가장 앞서 있다. 진작에 4차 산업혁명에서 기회를 본 이수태 대표가 임직원을 설득하고 함께 공부하며 이뤄낸 성과다. 

UV 램프 생산 라인의 경우, 대구의 자동차부품사 생산 라인에서 힌트를 얻었고, 수도권 기업과 손잡고 자동화 설비도 새로 만들었다. 

그 결과, 주력 상품인 선박평형수처리장치 핵심 부품인 UV 램프는 기존에 숙련 기술자 8명이 1인당 하루 10개씩 생산하다 지금은 6명이 100개를 생산한다. 

1인당 하루 15~16개꼴. 이 대표는 "스마트 팩토리를 공장 자동화로 오인하는데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신기술로 관리하고 진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명백히 다르다"며 "기업마다 공정이나 기술이 다른데 돈만 들인다고 구축할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뛰어드는 제조업 기업이 잇따르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란 공장 설비와 운영에 첨단 ICT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공장을 말한다. 

사람 대신 자동화 설비로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 관리 등 품질도 전자적으로 제어한다. 설비 이상, 노후도 예측할 수 있다.

국내에는 그동안 중소기업 5000여 곳에 스마트 팩토리가 보급됐다. 나아가 정부는 '민관 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을 만들어 '2022년까지 스마트 팩토리 2만개 보급'을 목표로 정했다. 

10인 이상 제조 기업 3분의 1에 해당한다. 제조업을 탄탄하게 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공급하겠다는 게 목표다.

동남권도 스마트 팩토리에 사활을 걸고 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2022년까지 스마트 팩토리 2000개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부산도 2014년 15개를 시작으로 스마트 팩토리 사업이 진행됐으며 2015년 66개, 2016년 79개, 지난해 49개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했다. 

스마트 팩토리는 생산 방식뿐 아니라 인력 구성, 주력 제품도 바꾼다. 

파나시아도 UV 램프 생산 라인 인력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지만 연구개발 인력은 30명까지 고용했다. 4~5년 새 배로 늘었다.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도 높다. 최근 부산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조사에서 지역 기업 211곳 중 70%가 4차 산업혁명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스마트 팩토리 부문(52%)을 비롯한 스마트 제조 분야에 교육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기업인 상당수가 스마트 팩토리로 4차 산업혁명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의지로는 부족, 체계적 지원 시급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한 동남권 기업 상당수는 그 수준에 있어 기초 단계 머물고 있다. 부산의 경우 스마트 팩토리 구축 기업의 80% 이상이 겨우 수작업을 벗어나 

생산 실적이나 데이터를 자동 집계하거나 기초 운영 소프트웨어를 도입했다. 파괴적 혁신, 성장은 한참 멀었다.

지역 제조업 상당수는 조선사나 완성차업체가 주문하면 제품을 생산하는 구조다. 주문대로 부품을 만드는, 다품종 소량 생산이 불가피하다. 

개별 기업마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도 달라야 한다. 기업 여건상 정부나 지자체 지원에 매달려야 하지만 현 지원 체계는 이 같은 사정과 거꾸로 가고 있다. 

정부는 각 부처별로 진행하던 지원 사업을 '민관 합동 스마트 공장 추진단'으로 일원화하며, 각 기업에 맞춘 지원이 어렵게 됐다. 

부산 A기업 대표는 "기본 시스템 구축에도 수억 원씩 드는데 정부 지원 5000만 원으로 소프트웨어 하나 살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답답해했다.

지역 제조업계에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주도한 지원 사업 얘기가 자주 나온다. 이 사업으로 부산에 2016년 39개사, 2017년 46개사 등이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했다. 

자금 지원도 도움이 됐지만 삼성전자 제조현장혁신활동 멘토단 전문가 2명이 기업에 맞는 스마트 팩토리 운용을 도왔다. 

조홍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두 사람은 출근하면 현장으로 나가 밤 늦도록 각 기업 시스템이 잘 돌아가는지 챙겼다"며 

"스마트 팩토리는 설비나 소프트웨어를 갖추는 게 아니라 리더나 멘토가 더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지역 스마트 팩토리 생태계를 구축할 구심점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배수현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업이나 연구시설을 집적할 거점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지원 체계는 관리 위주여서 전방위 지원이 가능한 전담기관 설립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영한 기자 kim01@busan.com